카테고리 없음

부안 지진, 백두산 화산분화할까? 우린 안전?

그룸이 2024. 6. 14. 16:55

부안에서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최근 우리나라에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데요. 부안 지진과 2024년 지진동향과 세계 화산지진을 통해 백두산 폭발등의 이슈를 파해쳐 보겠습니다. 

 

 

1.최근 지진발생현황

1)최근 우리나라 지진발생현황을 보면 

24년6월12일 전북부안군남쪽 4km/진도4.8

24년6월12일 전북부안군남쪽 4km/진도3.1

24년6월9일  제주서쪽해역 133km/ 진도2.1

24년6월8일  강원동쪽 해역138km/ 진도2.2

24년6월3일  속초동쪽해역 9km/진도2.5

24년6월1일  함경북도 길주 북서쪽 44km/진도2.1

24년6월1일  김천시 북동쪽14km/진도2.4

24년5월31일  연천군 북동쪽4km/진도2.8

24년5월22일  함경북도 길주 북서쪽 42km/진도2.3

24년5월20일  울산동구 북동쪽해역 40km/진도2.6

그외 5월 2회/4월에 5회 발생했습니다. 

 

2)과거 년도별 지진현황을 보면  

2023년 106회

2022년  77회

2021년  70회

2020년  68회

2019년  88회

2018년 115호

2017년 223회(포항 지진/진도5.4/11월15일)

2016년 252회(경주 지진/진도 5.8/9월12일)

2015년 44회

2014년 49회

2014년 이전 40~50회 

2016년과 2017년에 는 경주/포항지진을 제외하고는 계속 상승하는 추세 입니다. 

그렇다면 외 한반도에 지진횟수가 점점더 늘어나고 강도가 올라갈까요?

향후에 백두산 화산폭팔이 정말 일어날까요? 

또는 경주 지진, 포항 지진이 다시 일어날까요?

이 부분은 [2023년 기상청에서 발간한 지진연보]를 통해 간단히 살펴 보겠습니다. 

 

기상간행물 > 자료실 > 기상청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확인 방법 --> -->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 밖

www.kma.go.kr

 

 

2. 지진발생 지도 

  1)올해 진앙분포도(규모2.0이상)

 

 

 

 

 

24년6월12일 전북부안군남쪽 4km/진도4.8

24년6월12일 전북부안군남쪽 4km/진도3.1

24년6월9일  제주서쪽해역 133km/ 진도2.1

24년6월8일  강원동쪽 해역138km/ 진도2.2

24년6월3일  속초동쪽해역 9km/진도2.5

24년6월1일  함경북도 길주 북서쪽 44km/진도2.1

24년6월1일  김천시 북동쪽14km/진도2.4

24년5월31일  연천군 북동쪽4km/진도2.8

24년5월22일  함경북도 길주 북서쪽 42km/진도2.3

24년5월20일  울산동구 북동쪽해역 40km/진도2.6

 

 

 

 

 

 

2)누적 진앙분포도(규모2.0이상)

 

 

기상청 계기 관측은 아날로그 관측 시기(1978~1998년)와 디지털 관측 시기(1999년 이후)로 구분합니다. 1999년부터 2015년까지 지진 발생 추이는 지진관측망의 확대와 분석시스템의 고도화로 점진적인 증가세를 보이다가, 국내 최대규모인 2016년 경주지진(규모 5.8)과 2017년 포항지진 (규모 5.4)의 영향으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후 두 지진의 여진이 잦아들면서 지진 발생 횟수는 점차 감소세를 보이다가 2023년에 다시 증가하였다. 관측기준 대한민국의 진장으로 볼때 진앙의 분포가 북쪽보다는 남한 위주의 진앙분포가 되고 있다는 부분이 다소 의아한 상황입니다. 이러한 진앙의 분포를 기준으로 판단한다면 우리가 영화에서 보았던 백두산 폭팔의 기조는 아닌듯합니다. 그리고 또한 경주/포항지진을 제외하고는 아래 해외의 사례로도 보듯이 진도 5이상은 아직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볼때 대한민국은 안전지대다? 이런 것과도 차이가 있다고 판단이 됩니다. 

 

 

 

 

 

 

 

3. 해외 지진발생 현황

해외지진은 진도 5이상기준으로 조사해보면  대만과 일본이 전세계의 지진 51%를 기록하고 있을 정도로 많습니다.

일본이 우리나라와 근접해 있으므로 진도5이상 2024년의 20건을 보면 일본의 상황이 심각합니다. 특히 가장 집중적인지역도야마현 북북서쪽에 해역에서 올해만 규모5이상의 지진이 6건이 발생한부분이 향후에 심각한 지진의 피해가 발생할것으로 판단됩니다. 

출처:2023년 기상청발간 연보

 

번호 발생시각 규모 위치
1 2024-01-01 16:10 7.4 일본 도야마현(혼슈) 도야마 북쪽 90km 해역
2 2024-01-03 10:54 5.5 일본 도야마현(혼슈) 도야마 북북서쪽 83km 지역
3 2024-01-04 17:16 5 일본 니이가타현(혼슈) 니이가타 서쪽 125km 해역
4 2024-01-06 5:26 5.3 일본 도야마현(혼슈) 도야마 북북서쪽 67km 지역
5 2024-01-09 5:48 6.7 필리핀 제너럴산토스 남동쪽 179km 해역
6 2024-01-09 17:59 6 일본 니이가타현(혼슈) 니이가타 서쪽 107km 해역
7 2024-01-11 18:20 6.4 아프가니스탄 주름 남남서쪽 44km 지역
8 2024-01-19 7:12 6.4 통가 누쿠알로파 북쪽 246km 해역
9 2024-01-21 0:48 6.1 북마리아나제도 사이판 북쪽 364km 해역
10 2024-01-21 6:31 6.5 브라질 타라우아카 북서쪽 123km 지역
11 2024-01-21 7:09 6.3 남서인도양 해령
12 2024-01-23 3:09 7 중국 신장위구르 아커쑤지구 서쪽 136km 지역
13 2024-01-23 23:33 6.3 바누아투 포트빌라 남서쪽 43km 해역
14 2024-01-27 14:52 6.1 과테말라 에스쿠인틀라 남동쪽 36km 지역
15 2024-01-28 18:38 6.5 브라질 크루제이루두술 동남동쪽 159km 지역
16 2024-01-29 3:11 5.2 대만 화롄 남서쪽 43km 지역
17 2024-02-07 6:08 5.1 일본 도야마현(혼슈) 도야마 북북동쪽 117km 해역
18 2024-02-09 19:57 6.1 뉴질랜드 타우랑가 북동쪽 1054km 해역
19
2024-02-12 20:20 6.3 일본 시즈오카현(혼슈) 시즈오카 남남동쪽 1490km 해역
20 2024-02-14 10:31 6 칠레 라세레나 북북서쪽 113km 해역
21 2024-02-14 20:40 6 미크로네시아 콜로니아 북북동쪽 172km 해역
22 2024-02-15 12:48 5.1 일본 니이가타현(혼슈) 니이가타 서쪽 107km 해역
23 2024-02-15 15:29 5 일본 도야마현(혼슈) 도야마 북북동쪽 106km 해역
24 2024-02-23 10:51 6.3 칠레 볼디비아 서쪽 3330km 해역
25 2024-02-26 15:24 5.1 일본 에히메현 마쓰야마시 남서쪽 36km 지역
26 2024-03-02 1:49 5 일본 지바현 지바시 남남동쪽 38km 지역
27 2024-03-04 1:16 6.7 호주 매쿼리섬 남쪽 520km 해역
28 2024-03-08 18:11 6 필리핀 마티 남남동쪽 146km 해역
29 2024-03-14 0:13 6 파푸아뉴기니 킴베 동남동쪽 65km 지역
30 2024-03-15 6:10 6 북대서양 중앙 해령
31 2024-03-21 9:08 5.3 일본 사이타마현 고시가야시 북북동쪽 25km 지역
32 2024-03-21 19:49 5.3 대만 화롄현 북북서쪽 14km 지역
33 2024-03-22 17:52 6.4 인도네시아 수라바야 북북서쪽 159km 해역
34 2024-03-24 5:22 6.9 파푸아뉴기니 포트모르즈비 북서쪽 742km 지역
35 2024-03-27 10:28 6.4 피지 수바 남서쪽 587km 해역
36 2024-04-02 4:24 6.1 일본 이와테현 모리오카시 북동쪽 64km 지역
37 2024-04-02 18:54 6.3 북마리아나 제도 사이판 동북동쪽 169km 해역
38 2024-04-03 8:58 7.2 대만 화롄현 남남동쪽 23km 해역
39 2024-04-03 11:14 6.2 대만 화롄현 동북동쪽 38km 해역
40 2024-04-04 12:16 6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남동쪽 110km 해역
41 2024-04-05 13:50 5.4 대만 화롄현 북북동쪽 19km 해역
42 2024-04-05 20:03 6.8 괌 데데도 북쪽 622km 해역
43 2024-04-09 9:02 6 인도네시아 서파푸아주 마노콰리 남남동쪽 101km 해역
44 2024-04-09 18:48 6.6 인도네시아 북말루쿠 트르나테 북쪽 218km 해역
45 2024-04-15 5:56 6.5 파푸아뉴기니 킴베 동남동쪽 110km 지역
46 2024-04-17 23:14 6.4 일본 오이타현 오이타시 동쪽 74km 해역
47 2024-04-19 23:27 3.9 일본 나가사키현 대마도 북북동쪽 96km 해역
48 2024-04-22 1:35 5.3 대만 화롄현 북북동쪽 26km 해역
49 2024-04-22 18:08 5.5 대만 화롄현 남남서쪽 24km 지역
50 2024-04-22 19:46 5.4 대만 화롄현 남남서쪽 24km 지역
51 2024-04-22 19:50 5.7 대만 화롄현 남남서쪽 27km 지역
52 2024-04-22 22:13 5.3 대만 화롄현 남남서쪽 30km 지역
53 2024-04-22 23:11 5.9 대만 화롄현 남남서쪽 24km 지역
54 2024-04-23 3:26 6 대만 화롄현 남쪽 29km 해역
55 2024-04-23 3:32 6.3 대만 화롄현 남남서쪽 15km 지역
56 2024-04-23 6:04 5.5 대만 화롄현 남남서쪽 31km 지역
57 2024-04-23 10:45 5.4 대만 화롄현 남남서쪽 18km 지역
58 2024-04-23 11:21 5.4 대만 화롄현 남남서쪽 15km 지역
59 2024-04-24 20:40 5 일본 이바라키현 미토시 북동쪽 19km 지역
60 2024-04-27 3:21 6.1 대만 화롄현 북북동쪽 25km 해역
61 2024-04-27 3:49 5.8 대만 화롄현 북북동쪽 32km 지역
62 2024-04-27 4:13 5 대만 화롄현 북북동쪽 27km 지역
63 2024-04-27 7:23 6 인도양 중앙해령
64 2024-04-27 17:36 6.9 일본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남남동쪽 787km 해역
65 2024-04-28 1:29 6.1 인도네시아 반자르 남쪽 102km 해역
66 2024-04-28 12:43 4.4 중국 랴오닝성 다롄시 동남동쪽 137km 해역
67 2024-04-29 2:40 5 대만 화롄현 북북동쪽 21km 지역
68 2024-05-06 3:33 6.2 인도네시아 소롱 남쪽 273km 해역
69 2024-05-08 17:17 6.1 바누아투 루간빌 동북동쪽 99km 해역
70 2024-05-12 20:39 6.4 멕시코 치아파스 타파출라 남남서쪽 52km 해역
71 2024-05-19 18:35 6 미국 앵커리지 남서쪽 1609km 해역
72 2024-05-21 9:39 6 일본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남남동쪽 1013km 해역
73 2024-05-26 7:23 6.3 바누아투 포트빌라 북북서쪽 83km 해역
74 2024-05-27 5:47 6.6 통가 누쿠알로파 북쪽 199km 해역
75 2024-06-01 0:46 6.3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스트런던 남동쪽 1648km 해역
76 2024-06-01 0:54 6.2 뉴질랜드 타우랑가 북동쪽 1164km 해역
77 2024-06-01 2:10 5.5 대만 화롄현 북북서쪽 11km 지역
78 2024-06-03 6:31 5.9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 북쪽 90km 해역
79 2024-06-09 18:55 6.2 뉴질랜드 더니든 동남동쪽 3968km 해역

 

위성지도로 본다면 도바야시현에서 북쪽으로 올라가있는 해저에서 집중적인 지진활동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것으로 볼때 해저 화산이 올해에 터진다고 봅니다.  서일본의 해저화산이 떠지면 어떤일이 일어날지 정부의 대응책을 미리 마련해야 되지 않을까 생각하는데요 . 특히 해저화산과 지진해일은 울릉도와 독도에 큰 영향을 줄것으로 판단되어 이에 따른 대비책이 있어야 되지 않을까요? 

출처: 구글위성지도

 

결론적으로 최근에 부안 지진, 전북 지진을 통해 다양하게 이슈가 된 대한민국의 지진의 대응책을 살펴 보았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의 지진이슈, 백두산 화산은 없을 것으로 판단되며 그보다 급한것은 일본의 화산폭발로 울릉도나 동 남해안의 대응책을 마련해야 될 것으로 판단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