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국민연금 개혁안 요약 정리

그룸이 2024. 9. 20. 19:30
 

최근 발표된 국민연금 개혁안은 보험료율 인상과 소득대체율 상향을 중심으로 큰 변화가 있습니다. 아직 결정되지는 않았지만 주요 골자를 한번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자체디자인

 

 


기존 기준과 변경된 기준



보험료율: 현재 국민연금 보험료율은 월 소득의 9%입니다. 이번 개혁안에서는 이를 13%로 단계적으로 인상할 계획입니다. 예를 들어, 월 소득이 286만 원인 직장인의 경우, 기존에는 25만 7,400원을 납부했으나, 개혁 후에는 37만 1,800원을 내게 됩니다.
소득대체율: 현재 소득대체율은 40%인데, 개혁안에서는 이를 42%로 상향하고 2028년까지 고정할 예정입니다.
연도별 변경 사항
보험료율 인상은 세대별 차등 적용됩니다. 50대는 매년 1%p, 40대는 0.5%p, 30대는 0.33%p, 20대는 0.25%p씩 인상될 예정입니다. 이로 인해 세대 간 부담을 형평성 있게 분배하려고 한거 같습니다. 그러나 연령이 올라갈수록 부담을 늘린다는 단점이 있어 수긍할지 미지수 입니다. 
이번 개혁은 국민연금 기금이 고갈될 시기를 2056년에서 2072년으로 연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추가적인 개혁 사항



자동조정장치 도입: 물가, 기대수명, 인구 구조 등의 변화를 반영하여 연금 수급액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시스템이 도입됩니다.
퇴직연금 및 기초연금 강화: 국민연금 외에도 퇴직연금과 기초연금도 강화되어 저소득 노인을 위한 기초연금이 2026년부터 40만 원으로 인상되다는 점이 골자 입니다. 
최근 발표된 국민연금 개혁안은 국민연금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여러 가지 변경 사항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개혁안은 기존의 기준과 비교하여 여러 가지 중요한 변화를 가져오며, 특히 월소득, 나이, 고갈 문제, 세대 간 갈등, 자동조정장치 도입 등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1. 기존 기준과 변경된 기준의 차이


기존 기준: 국민연금의 보험료율은 9%로 고정되어 있었고, 연금 수급 시기와 금액은 소득에 따라 정해졌습니다.
변경된 기준:
보험료율이 9%에서 13%로 인상됩니다.
연금 수급 시기가 점진적으로 늦춰지며, 2024년부터는 65세로 통일됩니다.
연금 수급액은 소득에 따라 차등 지급되며, 소득이 높을수록 더 많은 연금을 받을 수 있다는 골자~


2. 월소득에 따른 변경 현황



변경 사항:
월소득이 300만 원인 경우, 기존에는 약 27만 원의 연금을 수령했으나, 개혁안에 따라 30만 원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소득 구간에 따라 연금 수급액이 달라지며, 예를 들어 월소득이 500만 원인 경우, 연금 수급액이 50만 원 이상으로 증가할 수 있습니다 


3. 나이를 기준으로 한 월소득 변화



변경 사항:
60세 이상 고령자에게는 월소득이 200만 원 이하일 경우, 연금 수급액이 더 높아지는 혜택이 주어집니다.
65세 이상이 되면 연금 수급이 시작되며, 이때 월소득이 높을수록 연금 수급액이 증가하는 구조로 변경됩니다 



4. 국민연금 고갈 문제



고갈 우려:
현재 국민연금 기금은 2056년까지 고갈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로 인해 연금 수급자 수가 증가하면서 기금의 지속 가능성이 위협받고 있습니다.
개혁안은 이러한 고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험료 인상과 수급 시기 조정을 통해 기금을 안정화하려고 합니다 


5. 세대 간 갈등



갈등 원인:
젊은 세대는 높은 보험료와 늦춰진 수급 시기로 인해 불만이 커지고 있으며, 반면 고령 세대는 안정적인 연금 수급을 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세대 간의 이해관계 차이로 인해 갈등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 


6. 자동조정장치 도입



자동조정장치:
국민연금의 재정 상태에 따라 보험료율과 연금 수급액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시스템이 도입됩니다.
이 장치는 기금의 고갈을 방지하고, 재정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기금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자동으로 보험료가 인상되거나 수급액이 조정된다는 건데 

이게 국민적 동의를 받을수 있을까요? 물론 동의하든 안하던 정치인들의 생각이 궁금하네요~ 


국민연금 수령나이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이 저는 상당히 중요한데 이젠 얼마를 내야되냐에 관심이네요 ~~ ㅎㅎㅎㅎ